'파이썬'에 해당되는 글 2건

  1. 2008.08.13 Python을 배워보자 (1)

Python을 배워보자 (1)

꺼리/공부 2008. 8. 13. 10:08
  • 프로그래머는 프로그램을 문서화하고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주석을 넣는다. 주석은 또한 다른 프로그래머가 당신의 프로그램을 읽고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. 파이썬의 주석을 # 기호를 이용하여 표시한다.
  • # 기호로 시작되는 주석을 단일라인 주석이라고 한다. 이 주석의 범위는 그것이 사용된 라인의 끝까지이다.
  • 주석은 프로그램의 실행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. 즉, 파이썬은 주석을 무시한다.
  • 프로그래머는 프로그램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빈 라인과 공백을 이용한다. 빈 라인과 공백 그리고 탭 문자를 화이트 스페이라고 한다.
  • 파이썬은 빈 라인을 무시한다.
  • 표준 출력 스트림은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채널이다. 이 정보는 주로 화면에 출력되지만 프린트되거나 파일에 쓰일 수도 있다. 또한 이 정보는 음성으로 출력되거나 점자 장치로 보내져서 시각 장애자가 이로부터 출력을 받아 볼 수도 있다.
  • print문은 따옴표 내의 문자열을 출력하도록 컴퓨터에게 지시한다. 문자열은 일련의 문자를 담고 있는 파이썬의 데이터 타입니다.
  • 보통 print문은 화면에 개행 문자를 보낸다. 개행 분자 다음에 위치한 문자열은 다음 라인에 쓰인다. 그러나 쉼표(,)가 쓰이면 개행 문자가 화면에 보내지지 않는다. 따라서 파이썬은 쉼표 뒤에 오는 문자열을 같은 라인에 출력한다.
  • 파이썬의 출력과 입력은 문자들의 스트림에 의해 수행된다.
  • 파이썬 파일의 확장자는 주로 .py이지만, 다른 확장자(예, .pyw)도 사용될 수 있다.
  • 파이썬 인터프리터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, 인터프리터는 파일의 첫 라인에서 시작하여 끝 라인까지 순서대로 실행물을 실행한다.
  • 역 슬래쉬(\)는 Escape 문자이다. 이것은 특수문자를 출력할 때 사용한다. 역 슬래쉬와 문자열이 함께 쓰일 경우, 역 슬래쉬와 그 다음에 위치한 문자는 Escape문자열을 이룬다.
  • Escape 문자열인 \n 은 개행을 의미한다  \n 문자열은 화면상의 커서를 다음 라인의 첫 부분능로 옮긴다.
  • 내장함수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파이썬에 의해 제공되는 코드의 집합을 말한다. 함수가 호출될 때 특정 작업이 수행된다. 작업 수행을 마친 후에 함수는 일반적으로 작업의 결과값을 반환한다.
  • 파이썬의 변수를 객체라고 한다. 객체는 컴퓨터의 메모리에 상주하며,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한다. 객체는 속성(데이터)과 행위(메소드)를 갖고 있다. 객체의 메소드는 특정 작업수행을 위해 속성을 이용한다.
  • 변수명은 문자와 숫자 그리고 밑줄(_)로 구성된다. 하지만 변수의 이름은 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.
  • 파이썬은 대소문자를 구별한다. 따라서 a1과 A1은 다른 변수이다.
  • 객체는 여러 개의 식별자(또는 변수명)를 가질 수 있다.각 식별자는 메모리에 있는 객체(변수)의 값을 참조한다.
  • 각 객체는 타입을 갖는다. 객체의 타입은 객체에 저장된 정보의 종류(문자열, 정수 등)를 의미한다.
  • 파이썬의 모든 객체는 타입, 크기, 값, 그리고 주소를 갖는다.
  • 함수 type은 객체의 타입을 반환한다. 함수 id는 객체의 주소를 의미하는 숫자를 반환한다.
  • C++이나 자바와 같은 언어에서는 프로그래머가 객체를 사용하기 전에 미리 객체의 타입을 선언해야 한다. 하지만 파이썬에서는 객체의 타입이 프로그램이 실행될 당시에 자동으로 결정된다. 이를 동적 타이핑이라고 한다.
  • 이항 연산자는 두 개의 피연산자를 필요로 한다. +와 - 등은 이항 연산자이다.
  • 파이썬 버전 2.2부터 / 연산자의 의미가 floor나누기에서   true 나누기로 바뀌었다.
  • floor 나누기는 분자를 분모로 나눈 값보다 작은 정수 중 가장 큰 정수를 반환한다. floor 나누기 결과의 소수점 이항 값은 모두 무시된다.
  • // 연산자는 floor 나누기를 수행한다.
  • true 나누기는 분자를 분보로 나눈 정확한 실수값을 반환한다.
  • / 연산자의 의미(즉 floor 나누기 또는  true 나누기)는 피연산자의 타입에 의해 결정된다. 두 피연산자가 모두 정수라면  floor 나누기가 실행되며, 두 피연산자 중 하나라도 실수라면  true 나누기가 실행된다.
  • 프로그래머는 from __future__ import division문을 이용하여 / 연산자의 의미를 true 나누기로 바꿀 수 있다.
  • 파이썬 버젼 3.0에서는 / 연산자 만이 true 나누기를 수행할 수 있다.
  • 파이썬은 나머지 연산자(%)를 제공한다. 이것은 정수 나누기의 결과로 얻어진 나머지를 반환한다. x % y는 x를 y로 나눈 나머지를 의미한다. 따라서 7 % 4는 3이다. 이 연산자는 주로 정수 피연산자와 함께 쓰이지만, 다른 타입과도 함께 쓰일 수 있다.
  • 나눈기 연산자는 정수, 실수와 모두 함께 쓰일 수 있다.
  • 파이썬의 산술식은 반드시 한 라인에 입력되어야 한다.
  • 파이썬의 산술식에서 괄호는 보통의 대수식에서 사용되는 의미와 같이 사용된다. 예를 들어 a와 b + c를 곱하는 식은 a * (b + c)와 같이 쓰인다.
  • 파이썬은 산술식을 계산할 때 정확하게 연산자 우선순위를 적용한다. 이는 일반적인 대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적용된다.
  • 어떤 연산자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적용된다고 말할 때, 이는 연산자의 연관성을 의미한다.
  • 파이썬은 문자열은 내장 데이터 타입으로 제공한다. 따라서 강력한 텍스트 기반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.
  • 문자열은 따옴표(') 또는 이중따옴표(")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. 파이썬은 또한 삼중 따옴표 문자열을 지원한다. 삼중 따옴표 문자를 가진 문자열을 출력할 때 또는 큰 텍스트 블록을 출력할 때 유용하다. 삼중 따옴표 내의 위치한 따옴표 또는 이중 따옴표는 Escape 문자열과 함께 사용될 필요가 없다. 그리고 삼중 따옴표 내의 문자열은 여러 라인에 걸쳐 위치할 수 있다.
  • 필드 길이는 출력될 값의 필드의 최소 길이를 말한다. 출력될 값보다 필드 길이가 더 클 경우, 데이터는 오른쪽으로 정렬된다. 필드 길이는 퍼센트 기호와 변환 명시자 사이에 정수로서 표시된다.
  • 각 테이터 타입마다 정밀도의 의미는 다르다. 정밀도가 정수 변환 명시자와 함께 사용될 경우, 이것은 출력될 최소 자릿수를 의미한다. 이 때, 만약 출력될 값의 자릿수가 정밀도보다 작을 경우, 정밀도의 수와 같을 때까지 출력될 값의 앞 자리에 0의 값이 채워진다.
  • 정밀도가 실수 변환 명시자와 함께 사용될 경우, 이것은 소수점 이하의 자릿수의 의미한다.
  • 정밀도가 문자열 변환 명시자와 함께 사용될 경우, 이것은 문자열 내의 최대 문자의 개수를 의미한다.
  •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지수 표기법은 수학에서 사용되는 과학적 표기법와ㅏ 그 의미가 유사한다. 예를 들어, 150.4582는 과학적 표기법으로 1.504582 X 10^2 로 표기되며 컴퓨터에서는 1.504582E+002로 표기된다. 여기서 E는 지수를 의미한다.
  •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if문은 조건의 참, 거짓을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. 만약 조건이 참이라면 if문의 바디가 실행되며, 그렇지 않다면 바디가 실행되지 않는다.
  • if문 내의 조건문은 등호 연산자를 이용하여 작성할 수 있다. 모든 관계 연산자는 서로 같은 우선 순위를 가지며, 오른쪽의 연관성을 갖고 있다. 등호 연산자들끼리는 같은 우선순위를 갖고 있다. 하지만 이들은 관계 연산자 보다는 낮은 우선순위를 가진다. 등호 연산자의 연관성은 오른쪽이다.
  • if문은 if라는 단어와 조건 그리고 콜론(:)으로 구성된다. 또한 if문은 바디를 가지고 있다.
  • 파이썬은 코드들 간의 구별을 위해 들여쓰기를 이용한다.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는 이를 위해 주로 중괄호를 이용한다.
  • 파이썬 블록을 위해 몇 개의 공백을 이용한다. 블록 내의 각 실행문에 사용된 공백의 크기는 일관성을 지녀야 한다.
  • 하나의 실행문을 두 라인에 걸쳐 분리하면, 구문 오류가 발생한다. 만약 실행문이 너무 기어서 여러 라인에 걸쳐 분리하고 싶다면, 라인 연장 문자인 \를 이용한다.
  •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실세계의 객체를 소프트웨어 내의 객체로 모델링한다. 그것은 클리스들 간의 관계를 이용한다. 특정 클래스의 객체들은 모두 같은 특성을 갖고 있다.
  • OOP는 상속의 개념을 이용한다. 상속을 통해 생성된 클래스는 부보 클래스의 특성을 모두 지니며 자신에게 고유한 특성을 이에 첨가한다.
  • OOP는 실세셰의 객체 그리고 그것으니 속성과 행위를 모델링함으로써 프로그래밍 프로세스를 보다 자연스럽고 직관적이게 한다.
  • OOP는 데이터(속성)와 함수(행위)를 객체라 불리는 패키지에 은닉한다. 객체의 데이터와 함수는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.
  • 객체는 정보 은닉의 특성을 갖고 있다. 객체들은 잘 정의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통신하는 방법을 알고 있지만, 서로의 세부적인 구현 방식은 알지 못한다.
  • 파이썬에서는 객체 지향의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. OOP의 프로그래밍 단위는 클래스이다. 파이썬의 클래서들은 메소드와 데이터를 갖는다.
  • OOP 프로그래머들은 사용자 정의 타입은 클래스와 컴포넌트를 생성할 수 있다. 각 클래스는 데이터와 이를 조작하는 함수들로 구성되어 있다. 클래스 내의 데이터는 데이터멤버 또는 속성이라 불린다.
  • 클래스의 기능적인 부분을 메소드라 한다.
  • OOP의 주요 관심사는 함수가 아니라 클래스이다. 객체 지향 프로그래머는 스시템 명서서 내의 명사들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현할 클래스들을 결정할 수 있다.
: